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1976년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이다. 1976년부터 1980년까지는 대회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81년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남녀 500m, 1000m, 1500m, 3000m 개인 경기와 남자 5000m, 여자 3000m 계주, 혼성 2000m 계주가 진행된다. 남자부에서는 안현수(빅토르 안)가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여자부에서는 양양(A)이 6회 연속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최민정은 4회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트트랙 대회 -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19세 미만 선수들이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쇼트트랙 유망주 발굴 및 육성과 대한민국 쇼트트랙 위상 강화에 기여해왔다.
  • 쇼트트랙 대회 - ISU 쇼트트랙 월드컵
    ISU 쇼트트랙 월드컵은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국제 대회로, 남녀 개인전, 계주, 혼성 계주 종목을 통해 시즌 최종 종합 우승자를 결정하며, 대한민국은 쇼트트랙 강국으로서 많은 우승자를 배출했다.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16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500m, 1000m, 1500m, 계주, 종합 메달을 합산하여 순위를 정하는 대회이며, 남자부는 한톈위가, 여자부는 최민정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린 국제 쇼트트랙 대회로,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심석희가 종합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이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쇼트트랙 강국의 면모를 보였다.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종목쇼트트랙
주최 기관국제 빙상 연맹
개최 주기1년
첫 대회1976년
조직국제 빙상 연맹
웹사이트국제 빙상 연맹 공식 웹사이트
대회
설립1976년
상태진행 중
빈도매년
위치변동
참가자변동
최근 대회 정보
이전 대회없음
다음 대회없음
2020년 대회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됨
기타
각주서울과 몬트리올, ISU 2020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지로 선정
ISU 성명 – 코로나바이러스 – 2020 ISU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서울
ISU, 취소된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를 올해 다시 일정에 추가하길 원함
ISU 성명 – 보류 중인 2020 ISU 선수권 대회 최종 취소
ISU,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공식 취소

2. 역사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최다 우승, 전 종목 금메달, 종합 순위 1, 2, 3위 석권 등 다양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최다 우승: 양양(A) (중국, 1997-2002)과 안현수(대한민국)/빅토르 안(러시아) (2003-2007/2014)이 각각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전 종목 금메달: 실비 데이글 (캐나다, 1983), 김기훈 (대한민국, 1992), 김동성 (대한민국, 2002)이 전 종목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종합 순위 1, 2, 3위 석권: 남자부에서는 캐나다(1982, 1983)와 대한민국(1992)이, 여자부에서는 캐나다(1982)와 대한민국(2005)이 종합 순위 1, 2, 3위를 석권했다.

2. 1. 대회 연혁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1976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대회의 명칭과 구성에 몇 차례 변화가 있었다.

  • 1976년-1977년: 세계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 1978년-1980년: ISU 선수권 대회
  • 1981년-현재: ISU 세계 선수권 대회


회차년도개최지종목 수
11976 샴페인13
21977 그르노블10
31978 솔리헐4
41979 퀘벡 시4
51980 밀라노4
61981 뫼동4
71982 멍크턴10
81983 도쿄12
91984 피터버러12
101985 암스테르담4
111986 샤모니4
121987 몬트리올5
131988 세인트루이스4
141989 솔리헐4
151990 암스테르담4
161991 시드니4
171992 덴버4
181993 베이징4
191994 길드퍼드4
201995 쇠빅12
211996 헤이그12
221997 나가노10
23199810
241999 소피아12
252000 셰필드12
262001 전주12
272002 몬트리올12
282003 바르샤바12
292004 예테보리12
302005 베이징10
312006 미니애폴리스10
322007 밀라노10
332008 강릉10
34200910
352010 소피아10
362011 셰필드10
372012 상하이10
382013 데브레첸10
392014 몬트리올10
402015 모스크바10
412016 서울10
422017 로테르담10
432018 몬트리올10
442019 소피아10
452021 도르드레흐트10
462022 몬트리올10
472023 서울9
482024 로테르담9
492025 베이징9



2020년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대회는 취소되었다.

2. 2. 역대 개최지 및 종목 수

회차년도개최지종목 수
11976 샴페인13
21977 그르노블10
31978 솔리헐4
41979 퀘벡 시4
51980 밀라노4
61981 뫼동4
71982 멍크턴10
81983 도쿄12
91984 피터버러12
101985 암스테르담4
111986 샤모니4
121987 몬트리올5
131988 세인트루이스4
141989 솔리헐4
151990 암스테르담4
161991 시드니4
171992 덴버4
181993 베이징4
191994 길드퍼드4
201995 쇠빅12
211996 헤이그12
221997 나가노10
23199810
241999 소피아12
252000 셰필드12
262001 전주12
272002 몬트리올12
282003 바르샤바12
292004 예테보리12
302005 베이징10
312006 미니애폴리스10
322007 밀라노10
332008 강릉10
34200910
352010 소피아10
362011 셰필드10
372012 상하이10
382013 데브레첸10
392014 몬트리올10
402015 모스크바10
412016 서울10
422017 로테르담10
432018 몬트리올10
442019 소피아10
452021 도르드레흐트10
462022 몬트리올10
472023 서울9
482024 로테르담9
492025 베이징9


3. 경기 종목

4. 역대 종합 우승자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역대 종합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개최 횟수별 국가를 살펴보면, 캐나다가 7회로 가장 많고, 대한민국이 4회(2020년 취소된 대회 포함)로 그 뒤를 잇고 있다.[4]



남자 선수 중에는 도다 히로시(1979년), 가와이 도시노부(1985년, 1987년 공동 우승), 이시하라 다쓰요시(1986년) 등 일본 선수들과, 김동성(1997년), 빅토르 안(2003년부터 5연패, 2014년), 이호석(2010년), 노진규(2011년) 등 한국 선수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선수 중에는 가토 미요시와 시시이 에이코(일본), 박승희(2010년), 조해리(2011년)(이상 한국)가 우승했다.

중국의 양양(1998년부터 5연패)과 왕멍(2008년, 2009년)은 여자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빅토르 안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회 연속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2014년에도 다시 한번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미국의 아폴로 안톤 오노는 2008년에 종합 우승을 했다.

4. 1. 남자부

다음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남자부 경기 결과이다.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6년섐페인앨런 래트레이가에탕 부셰르앙드레 샤브르리
1977년그르노블가에탕 부셰르크레이그 크레슬러도다 히로시
1978년솔리헐제임스 린치해리 스프래그앨런 래트레이
1979년퀘벡도다 히로시루이 바릴닉 토메츠
1980년밀라노가에탕 부셰르루이 그르니에마르크 벨라
1981년뫼동브누아 바릴가에탕 부셰르마이클 리치먼드
1982년멍크턴기 데뇨가에탕 부셰르루이 그르니에
1983년도쿄루이 그르니에미셸 들리슬기 데뇨
1984년피터버러기 데뇨이시하라 다쓰요시미셸 데뇨
1985년암스테르담가와이 도시노부이시하라 다쓰요시루이 그르니에
1986년샤모니이시하라 다쓰요시기 데뇨로베르 뒤브뢰유
1987년몬트리올미셸 데뇨
가와이 도시노부
-찰스 펠트호번
1988년세인트루이스페터르 판 더르 펠더리하르트 사위턴이시하라 다쓰요시
1989년솔리헐미셸 데이뇨김기훈마크 래키
1990년암스테르담이준호아카사카 유이치
윌프 오라일리
1991년시드니윌프 오라일리김기훈이준호
1992년덴버김기훈모지수이준호
1993년베이징마크 가뇽실뱅 가뇽채지훈
김기훈
1994년길포드마크 가뇽채지훈
프레데릭 블랙번
1995년죄비크채지훈마크 가뇽송재근
1996년헤이그마크 가뇽채지훈오라치오 파고네
1997년나가노김동성마크 가뇽데릭 캠벨
1998년마크 가뇽파비오 카르타김동성
1999년소피아리자쥔테라오 사토루파비오 카르타
2000년셰필드민륭에릭 베다르리자쥔
2001년전주리자쥔아폴로 안톤 오노마크 가뇽
2002년몬트리올김동성안현수파비오 카르타
2003년바르샤바안현수리자쥔송석우
2004년예테보리안현수송석우리자쥔
2005년베이징안현수아폴로 안톤 오노프랑수아-루이 트렘블레이
2006년미니애폴리스안현수이호석프랑수아-루이 트렘블레이
2007년밀라노안현수샤를 아멜랭아폴로 안톤 오노
2008년강릉아폴로 안톤 오노이호석송경택
2009년이호석J.R. 셀스키샤를 아멜랭
2010년소피아이호석곽윤기량원하오
2011년셰필드노진규샤를 아멜랭량원하오
2012년상하이곽윤기노진규올리비에 장
2013년데브레첸신다원김윤재샤를 아멜랭
2014년몬트리올빅토르 안J.R. 셀스키샤를 아멜랭
2015년모스크바신키 크네흐트박세영우다징
2016년서울한톈위샤를 아멜랭류샤오린 산도르
2017년로테르담서이라신키 크네흐트사뮤엘 지라르
2018년몬트리올샤를 아멜랭류샤오린 산도르황대헌
2019년소피아임효준황대헌세묜 엘리스트라토프
2020서울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5]
2021년도르드레흐트류샤오앙류샤오린 산도르세묜 엘리스트라토프
2022년몬트리올류샤오앙파스칼 디옹이준서


  • 도다 히로시 (1979년)
  • 가와이 도시노부 (1985년, 1987년 공동 우승)
  • 이시하라 다쓰요시 (1986년)
  • 김동성 (1997년)
  • 빅토르 안 (2003년부터 5연패, 2014년)
  • 아폴로 안톤 오노 (2008년)
  • 이호석 (2010년)
  • 노진규 (2011년)

4. 2. 여자부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6년섐페인셀레스트 클래패티캐시 보그트페기 하트리치
1977년그르노블브렌다 웹스터캐시 보그트밸리 레이맨
1978년솔리헐세라 닥터가토 미요시패티 라이맨
1979년퀘벡실비 데이글캐시 턴불가토 미요시
1980년밀라노가토 미요시가토 미카캐시 턴불
1981년뫼동가토 미요시가토 미카루이즈 베갱
1982년멍크턴마리즈 페로루이즈 베갱실비 데이글
1983년도쿄실비 데이글가토 미카마리즈 페로
가토 미요시
1984년피터버러기노시타 마리코실비 데이글나탈리 랑베르
보니 블레어
1985년암스테르담시시이 에이코보니 블레어나탈리 랑베르
1986년샤모니보니 블레어나탈리 랑베르
마리즈 페로
-
1987년몬트리올시시이 에이코나탈리 랑베르기노시타 마리코
1988년세인트루이스실비 데이글야마다 유미코시시이 에이코
1989년솔리헐실비 데이글마리즈 페로궈훙루
1990년암스테르담실비 데이글조엘 판 쿠스트벨트이든 도너텔리
1991년시드니나탈리 랑베르실비 데이글장옌메이
1992년덴버김소희리옌야마다 노부쿠


참조

[1] 웹사이트 Seoul and Montreal awarded 2020 World Championships by ISU https://www.insideth[...] insidethegames.biz 2017-06-06
[2] 웹사이트 ISU Statement – Coronavirus – ISU World Short Track Speed Skating Championships 2020, Seoul https://isu.org/isu-[...] isu.org 2020-02-26
[3] 웹사이트 ISU wil afgelast WK shorttrack later dit jaar alsnog op kalender zetten https://nos.nl/l/232[...] 2020-03-29
[4] 웹사이트 ISU Statement – Definite cancellation of pending 2020 ISU Championships https://isu.org/isu-[...] 2020-04-16
[5] 웹사이트 ISU Statement – Definite cancellation of pending 2020 ISU Championships https://isu.org/isu-[...] 2020-04-16
[6] 웹사이트 ISU Officially Cancels World Short Track Championships in South Korea due to Coronavirus | Speed Skating Canada https://speedskating[...] 2020-03-27
[7] 웹인용 ISU Statement — Definite cancellation of pending 2020 ISU Championships https://isu.org/isu-[...] 2020-04-16
[8] 웹인용 ISU Statement — Definite cancellation of pending 2020 ISU Championships https://isu.org/isu-[...] 2020-04-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